[생기부 발급 방법 총정리] 정부24 · 학교 방문 · 무인발급기 비교

입시나 취업, 각종 장학금 신청 시 반드시 필요한 서류 중 하나가 바로 학생생활기록부(생기부)입니다. 특히 졸업생의 경우 오랜만에 생기부가 필요해 발급 방법을 몰라 당황하는 일이 많습니다. 2025년 현재 생기부는 온라인, 오프라인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발급이 가능하며, 목적에 따라 선택 가능한 경로가 다르기 때문에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기부 발급방법 총정리 생기부는 정부24를 통한 온라인 출력부터 학교 행정실 방문, 일부 지역의 무인민원발급기 이용까지 여러 방법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다만 학교에 직접 가지 않고도 빠르게 발급받을 수 있는 경로가 제한적인 만큼, 현재 본인의 졸업 연도, 인증 수단 보유 여부, 제출 기관의 요구 형식 등을 고려해 적절한 발급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정부24'에서 생기부 발급 1. 정부24를 이용한 생기부 출력 가장 간편하고 대중적인 방법은 정부24 홈페이지 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온라인 발급은 2004년 이후 졸업자 또는 재학생에게만 제공되며,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PASS, 카카오, KB 등 민간인증서로 로그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정부24에 접속한 후 상단 검색창에 '학생생활기록부'를 검색하고, 민원신청 메뉴에서 '출력용 발급'을 선택하면 즉시 생기부를 PDF 파일로 내려받거나 프린트할 수 있습니다. 이때 발급 문서 하단에 있는 문서 진위확인번호가 포함되어 있어 대부분의 제출처에 유효한 공식 문서로 인정됩니다. 연간 50건, 하루 3건까지 무료 발급이 가능합니다. 2. 학교 행정실 방문해 발급 2004년 이전 졸업자나 온라인 인증이 어려운 경우 , 가장 확실한 방법은 본인이 졸업한 중·고등학교 행정실을 직접 방문해 생기부를 발급받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졸업 연도에 상관없이 모든 졸업생이 이용할 수 있으며, 신분증을 지참해 방문하면...